2022년 임인년(壬寅年)은 육십간지중 39번 째로 흑색의 임(壬)과 호랑이의 인(寅)이 결합한 ‘검은 호랑이의 해’다. 호랑이는 전설이나 민화, 속담 등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리더십 강한 동물로, 무신(巫臣, 武官)을 상징하는 관복의 흉배와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을 구하는 문배도(門排圖)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검은 호랑이는 도전 정신이 강한 상징으로 쓰여 선조들이 호랑이 중 가장 귀하게 여겼다. 이를 반영하듯 ‘트렌드코리아 2022 키워드; Tiger or cat’는 ‘호랑이 혹은 고양이’에 주목했다. 위드 코로나가 본격화 되는 2022년 속 변화를 잘 준비한다면 호랑이가 될 것이지만, 과거에 머문다면 고양이로 전락한다는 뜻이다. 나노사회로의 진입(Transition into a ‘Nano Society’)과 머니러시(Incoming! Money Rush), 개인적 삶으로 다양한 회귀(Gotcha Power, Rustic life, Healthy Pleasure) 속에서 새로운 시대의 리더들은 과거와는 다른 안과 밖의 성공을 도모한다는 뜻이다.

2021년 음원차트를 뜨겁게 달군 이날치 밴드의 ‘범 내려온다!’는 마치 올해를 미리 예견하듯, 조선 후기 판소리계 소설 수궁가(별주부전) 속 짐승들의 자기자랑을 현대적으로 번안해 큰 인기를 끌었다. 관광공사의 “한국의 흥을 느껴라(Feel the Rhythm of Korea)!”라는 구호처럼, 호랑이 기운은 새해에 선물하는 세화(歲畵)에 담긴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흥을 사회 전면에 드러낸다. 세화는 연말연초에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해 그려지는 그림이다. 과거 호랑이 그림은 겉으론 희화화 됐지만 내면엔 신통력을 지닌 영물로 사람이나 짐승으로 변신도 하고, 미래를 내다볼 줄 아는 의를 지키는 동물로 등장한다. 본래 벽이나 대문에 붙인 호랑이 그림은 사납고 험상궂은 모습이 아니라 점잖게 입을 다물고 있거나 빙그레 웃음을 머금는 등 불행을 예방하고 행운이 깃든 기복적인 성격으로 묘사되었다.

김홍도, 송하맹호도, 호암미술관
김홍도, 송하맹호도, 호암미술관

호랑이는 까치, 소나무와 함께 있으면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통용되지만, 2022년 검은 호랑이의 기운은 세상을 향해 출사하는 출산호도(出山虎圖)의 기운이 강해 보인다. 호랑이가 산에서 걸어 나오는 출산호도는 군자 또는 숨은 선비의 출세를 상징하는데, 이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그림이 18세기 화원화가 김홍도가 정밀한 사생력으로 위엄 있게 그린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라고 할 수 있다. 검은 호랑이가 몰고 오는 안팎이 조화를 이룬 리더십의 바람, 검은 호랑이해는 말 그대로 대한민국의 리더십이 새롭게 눈뜨는 해이자, 코로나라는 위험을 멀리하고, 일상을 새롭게 도전하는 호랑이 기운이 내려오는 상서로운 시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민화, 까치호랑이, 삼성미술관 리움
민화, 까치호랑이, 삼성미술관 리움

 

/안현정 성균관대박물관 큐레이터

저작권자 © 법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