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그 일을 하게 되면서 맞이하게 되는 행복한 순간이 있다. 그리하여 그 일을 지속하게 되는 동력으로 변하게 되는 그런 순간, 그런 순간이 반드시 있다.
어느 날 점심을 먹고 돌아오는데 대기실에 한 가족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 가운데서 눈에 들어왔다. 불안과 의심으로 좌우를 두리번거리는 어머니쯤 돼 보이는 여자분과 어정쩡하게 기대지도 앉지도 못하는 그런 자세를 하고 있는 젊은 여성 그리고 모자를 눌러쓴 그녀의 남편, 그들을 둘러싼 심상치 앉은 기운 때문에 점심 먹은 게 부담스러워지고 있었다.
소위 단골 환자들은 이제 들어오냐며 반갑게 맞아주거나 너무 늦은 거 아니냐며 타박을 하시거나 아무튼 나름대로 인사를 건네는데 잔뜩 긴장한 그 가족들은 눈에 뜨일 수밖에 없었다.
접수를 하고 들어온 젊은 여자는 임신 중이었다. 어정쩡하게 앉아있었던 것은 이유를 모를 하혈 때문이었다. 벌써 3번째의 임신이고 이전 두 아이는 3개월만 되면 이유를 알 수 없는 출혈이 계속돼 5개월쯤 되어서 놓쳤다고 했다. 지금의 이 아이도 또 출혈이 있어 지혈시키는 주사도 맞고 병원에 입원도 하고 해서 출혈이 멈추는 듯했다가 퇴원 후 또 출혈이 계속돼 마지막 방법으로 한의원을 소개 받고 왔다고 했다.
늦은 나이에 결혼을 해서 임신 자체도 늦었지만, 그런 것은 문제가 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단다. 원인이라면 너무 늦은 임신이 근본적인 잘못이었고 급하게 또 임신을 시도하고 실패하고를 반복하면서 약해진 자궁이 2차적인 원인이었다.
요사이는 결혼 적령기가 생리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결정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몸이 원하는 생산의 적령기는 사회적으로 결정되는 결혼적령기보다 훨씬 이른 나이이다. 아이를 임신해서 충분한 양의 모유를 먹여서 1∼2년간 기를 수 있는 몸의 나이는 대체적으로 20대가 적당하다. 늦어도 35세 이전엔 출산을 마치는 것이 아이를 위해서도 엄마를 위해서도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출산이란 게 몸의 여건만 된다고 일어날 수 있는 게 아니지 않는가.
고학력의 여성일수록 사회적으로 이루고 싶은 성공의 욕망도 있고 출산 이후에 다단하게 벌어질 육아를 감내할 조건을 따지다 보면 결국 출산은 나중에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의 한 가지로 변하게 된다.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육아시설의 확충을 비롯한 복지정책 세우는 것과 출산을 장려할 수 있게 사회적 분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모범답안은 있다.
나 또한 아이 둘을 낳아서 친정어머니의 도움으로 키우면서 여자가 집안일 이외의 다른 일을 하려면 다른 여성의 노동력을 착취(?)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었고 그래서 그 말뿐이었던 모범답안이 정말로 절실했었다.
하혈했던 여자환자에게 반재의 지혈약을 주고 하혈상태를 지켜보자고 했고 다시 일주일 후에 하혈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고 반재의 약을 썼다. 하혈이 멎었노라고 감사하다는 전화를 받고는 잊고 살았다.
그런 일이 있은 지 1년 반쯤 지나고 다시 점심을 먹고 들어오는데 대기실 안이 시끌벅적했다. 눈에 익은 한 가족이 앉아있었고 흰 떡을 들고 아장거리는 남자아기를 보듬고 있는 할머니는 2년 전 그 어머니였다. “선생님, 이 애가 그때 뱃속에 있던 아가랍니다”라는 말에 반갑고 기특해서 얼른 애를 안았다. ‘아 어쩜 이렇게 이쁘단 말인가. 내가 아주 장한 일을 했구나’ 하고 어깨가 으쓱해졌다.
그 임산부는 그 뒤 무사히 아기엄마가 되는 순간을 맞이했고 이렇게 돌잔치까지 하게 되었고 돌떡을 드리려고 왔다는 말에 내가 먼저 고마운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저렇게 예쁜 아이를 놓쳤다면 어쩔 뻔했나 하는 아찔한 생각도 들었다. 이 때가 내일에서 행복을 느끼고 이 일을 계속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되는 첫 번째 순간이었다.
개인적일지 모르지만,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은 내 삶의 아주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던 훌륭하고 고마운 일이었다. 지금 출산을 고민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나쁘지 않은 경험이라고 쿨한 척 이야기하지만, 아이를 가진다는 건 가슴 저 밑바닥에선 뜨거운 무엇이 흐르게 된다는 거다. 한마디로 난 아이를 낳고 착해졌다.
다만 의사로서는 너무 늦지 않게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는 선택을 하길 권할 뿐이다.
 / 오디한의원 원장   aescule70@nate.com

저작권자 © 법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