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부모님으로부터 무언가 약속을 받으면 한없이 그 날만 기다리며 가슴 설레었습니다. 어른 말씀 잘 들으면 장난감을 사 주겠다 하시면 오매불망 그 날만 기다리며 하고 싶은 것도 참고 떼를 쓰고 싶은 서운함도 꾹꾹 눌러 담으며 작지만 그 시절엔 한없이 소중한 것을 얻기 위한 기다림의 시간을 견뎌냈습니다. 그래서 얻어 낸 장난감은 처음에는 흠이라도 날까 유리잔을 다루듯 조심조심 소중하게 품안에서 빼어낼 줄 모르고 지냈지만, 지금 그 많던 장난감들이 어디로 갔는지조차 알 수 없게 흥미를 잃기 마련이었습니다. 자라면서 그때그때의 소중함이 달랐던 것이고 지금의 가치에 과거의 애절했던 그 소중함은 절로 가려졌던 이치 때문일 것입니다.
지난 주말 아내와 함께 영화 ‘건축학개론’을 보았습니다(남편으로서의 최소한의 의무를 한다는 마음으로 간 것이지 로스쿨생이 한가하게 영화를 즐기는 마음으로 간 것은 아닙니다). 영화의 배경 자체가 1996년도의 대학 신입생을 바탕으로 한 영화인지라 저와 동갑내기 아내 역시 한참 감정이입해가며, 눈 붉혀가며 영화를 보았습니다. 사실 회사를 그만두고 로스쿨로 진학하였을 땐 1996년에 학교를 다니던 그 때의 저와 별로 다름이 없다고 생각해왔었는데, 영화는 제가 대학생이 아닌 30대 중반의 아저씨란 사실을 알게 해주고 그때로부터 아주 긴 시간이 흘러 이제는 노력해도 그때의 어리숙함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사실을 알려 주었습니다. 배운 대로만 떠들어댔던 그때 했던 말들이 편견으로 가득찬 지금의 말들보다 더 진실이었을 것이란 생각도 많이 들었고요.
그렇지만 한편으로 느껴진 바는 지금 펼쳐져 있는 ‘요건사실론’ 책이 영화의 건축학개론처럼 느껴질 날도 있을 것이란 사실이죠. 로스쿨에서의 기억을 추억으로 삼는다는 것은 왠지 모를 사치와 같이 느껴지고 어리숙함을 자인하는 것 같은 마음에, ‘전문성’을 키우려고 온 것이지 하찮은 추억 따위 담아둘 여유는 없다고 속으로 외쳐대며 마음을 잡으려 발버둥쳐 온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모두가 그러는 통에 학부를 마치고 바로 이곳으로 진학한 20대 중반의 꽃 같은 로스쿨생마저도 치열함으로 가득한 이곳의 분위기에 갇혀 버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화는 30대 중반의 주인공들이 지금의 삶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아련함이 가득했던 그때로 갈 수 없단 사실을 아쉬워할 뿐이지 지금의 자신을 부정하려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때의 어리숙함과 솔직함이 없었다면 지금의 다듬어진 모습도 있지 않았단 사실을 말하려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련함을 일깨워주는 영화를 보고 나서 이런 말을 하는 저도 너무 세파에 찌든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로스쿨생들에게 이런 저런 말들이 너무나 많단 생각이 듭니다. 언론은 일찍부터 법조인 직역을 통틀어서 우려를 토해냈고 TV 드라마는 1기생들의 졸업이 있기 전부터 변호사가 로스쿨 출신이란 이유로 의뢰인에게 퇴짜를 맞는 모습을 사뭇 우울하게(비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아주 신나게) 그려댔습니다. 사실 저는 각종 매체에서 그런 식의 묘사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합니다. 건축학개론을 듣는 건축학과 신입생의 당장의 모습을 보고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구현할 능력이 없는 것 같다”면서 우려를 가장한 비난을 한다면 공정하지 않은 비판이겠지요. 건축학과를 막 졸업한 신출내기 건축사에게 초고층 건물 건축을 맡기는 무모한 실장님도 존재하지 않듯이 실무를 겪어나가며 로스쿨생들은 더욱 다듬어진 모습을 갖추어나갈 시간을 겪어가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한창 일을 해 나갈 3~4년차가 된다면 어느 분야에서든 건축학개론의 남자 주인공처럼 밤잠을 설쳐가며 책임감 있게 일을 해 나가는 법조인이 될 것입니다.
주제넘게 이야기하자면 우수한 선배 법조인들께서 자리하고 있는 법조영역에 로스쿨생이 실무를 통해 스스로를 담금질 해 나갈 시간조차 허락되지 않을 만큼 긴박한 어려움이 있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요건사실론을 펼치고 사건별로 청구원인과 항변을 분석하며 틀린 부분은 무엇인지 보충할 것은 무엇인지 한땀한땀 따져가야 할 오늘입니다. 지금 대학신입생 때를 반추하며 그 촌스러움과 어색함에 웃음 짓는 것처럼, 배운 것이 다는 아니지만 배움에 있어서만은 충실하려 하는 지금의 모습에 바탕하여 훗날 실무에서 노련함을 갖춘 모습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때가 되면 배운대로만 알고 있는 지금의 모습이 너무나 순수하고 아련하게만 느껴져서 슬며시 미소지으며 애달파 할지도 모릅니다. 누구에게나 지금의 시간은 언젠가 영화의 그때처럼 소중한 기억으로 남을 것이기에 스스로도 조급해 하지 않고 차분히 소중한 오늘을 보내려고 합니다. 지금의 조바심도 그 추억의 한 줄이 되겠지만 말이죠.
 


 

저작권자 © 법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