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해외여행이 자유화되면서 여행수요가 봇물 터지듯이 급증했다. 자유화 초기에는 가이드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현지 문화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의사소통을 해결해주면서 ‘여행의 꽃’이라는 애칭까지 얻었지만 최근에 와서는 분란의 소지요, 여행의 불만족 사례에 자주 회자되는 계륵이 되어가고 있다.

흔히 알고 있는 여행 가이드는 해당 국가에 체류하면서 여행사에서 이미 확보해 놓은 호텔, 차량, 식당, 관광지 등에서 일정에 따라 여행을 진행하는 책임자다. 여기에 더불어 여행객을 위해 현지 문화 소개뿐만 아니라 현지 선택관광과 쇼핑까지 진행한다.

가이드의 역할은 여행의 백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가이드를 만나느냐에 따라 여행의 희로애락이 결정된다. 문제는 여행사들이 여행요금으로 과다 출혈경쟁을 하면서 그 부담이 현지 여행사(일명 랜드)에게 전가된다는 것이다. 일명 ‘지상비’라고 지칭되는 투어피(Tour Fee)다. 항공을 제외한 현지에서 발생되는 전 비용을 이르는 말이다. 일부 여행사의 경우 적정 지상비를 지급하지 않고 마이너스 투어피만을 지급하고 이를 받은 현지 여행사들은 가이드를 통해 선택관광과 쇼핑을 통해 만회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가이드 역시 선택관광과 쇼핑으로 자신들의 월급을 충당하면서 불안정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여행의 백미가 되어야 할 여행 가이드가 과도한 선택관광과 쇼핑 강요로 인해 지탄의 대상이 된 것이다. 대다수 여행상품은 가이드가 꼭 필요한 상품이다. 적절한 투어피 지급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 해결책이다.

해외에서도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한 세대가 여행의 소비 계층으로 등장하고 가이드에 대한 의존도가 줄면서 여행상품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호텔과 항공만 결합한 상품이 대표적이다. 특히 휴양 상품은 아예 가이드 없이 호텔에서 공항과 호텔간의 차량을 직접 운영한다. 특히 외부투어를 원하는 여행객이 있을 경우 현지 여행사 투어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가이드를 직접 연결해 주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국가별로 차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자국민만이 여행 가이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대부분 한국어 가이드는 현지 어학원을 통해 한국어를 익히고 가이드에 종사하고 있다. 간혹 원활한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지만 그럭저럭 잘 유지되고 있다.

태국의 경우 오랫동안 한국인 가이드를 묵인해오다 인도네시아와 같은 이유로 자국민 가이드만을 인정하려고 했지만 한국어 가이드가 부족해 시팅(Sitting) 가이드 제도를 도입해 한국인 가이드와 병행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법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